728x90
메이킬 필름을 보면 알겠지만 네이버는 이제 '디지털뉴스 아카이브'를 서비스 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또 하나 만들어 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이버의 서비스 측면으로만 본다면 100점짜리 서비스가 분명한 사실이다. 오래된 TV프로그램을 보듯이 신문을 펼쳐놓고 신문을 볼 수 있으며 검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자, 한글에 대한 배려는 물론 신문크기가 자유자재로 변화한다.
500명 이상의 인력이 투입되었고, 작업기간이 2년이 소요되었다. 1차로 1976년부터 1985년까지 서비스 되고 추후 좀 더 과거와 현재까지 확대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신문사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PDF파일 정도의 기사확인 서비스를 넘어서 이정도 서비스라면 세계적인 서비스임을 알려주는 몇가지가 있다.
해당면의 기사를 한자변환한 기사로 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한글변환이 가능한 점, 상세검색을 통한 다양한 키워드를 검색 할 수 있는 점, 광고, 날씨, 만평까지 볼 수 있는 점, 신문의 축소 및 확대가 가능한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아직 많은 부분을 경험해 보지는 못했지만 충분히 가능성이 있고, 제대로 아카이브 시스템과 라이브러리 시스템을 갖출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의 디지털화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1. 작업 신문 선정
2. 신문 스캐닝
3. 속성값 추출
4. 문자 추출
5. XML, PDF 변환
6. 산출물 검수
7. 최종 산출물
을 만들어 내고 이를 검색 데이터 베이스와 접목시키는 것으로 발전시켰다.
1. 작업 신문 선정
2. 신문 스캐닝
3. 속성값 추출
4. 문자 추출
5. XML, PDF 변환
6. 산출물 검수
7. 최종 산출물
을 만들어 내고 이를 검색 데이터 베이스와 접목시키는 것으로 발전시켰다.
네이버의 '디지털뉴스 아카이브'는 세계적인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억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과거는 물론 과거의 역사속에서 오늘을 알게되고, 미래를 분석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국내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네이버의 '디지털뉴스 아카이브'서비스를 진심으로 응원하고 싶다.
728x90
'문화 > 인터넷, 블로그,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같은 중독현상, 추천제를 바라보며... (24) | 2009.05.04 |
---|---|
눈물나는 서비스, 네이버의 '디지털뉴스 아카이브' (16) | 2009.05.04 |
눈물나는 서비스, 네이버의 '디지털뉴스 아카이브' (17) | 2009.05.04 |
내 블로그 이웃을 탐하여라. (69) | 2009.04.24 |
내 블로그 이웃을 탐하여라. (61) | 2009.04.24 |
티스토리에 초대합니다. (91) | 2009.04.22 |
옛날 광고들 보는 재미가 쏠쏠하더군요^^
예전 것들 찾아볼 때 참 좋은 거 같아요. 예전에는 옛날 신문 한 번 보려고 하면 참 이래저래 불편했었는데요.
아...어디서 오신지 알겠습니다. ^^ 저도 광고를 한 번 유심히 봤는데 지금보다 솔직한 모습들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와~ 정말 생각지 못했던 서비스네요!
한번 이용해봐야겠습니다.
아마 저보다 재미를 더 찾으실지도 모르겠네요. ^^;
많은 블로거 분들에게는 애증의 네이버지만 그래도 다른 포털들 보다는 확실히 앞서나가는것 같습니다
저도 지금 제가 태어난 날짜의 신문을 한번 찾아봤는데 재미있네요. ㅎㅎ
저도 사연이 좀 있는 네이버에요. ^^ 몇몇 서비스때문에 지금도 이용하고 있지만 이런 서비스는 확실히 뭔가 다른 것 같습니다.
아, 전 클럽 외에는 거의 사용을 안하는 네이년이라 부르는 네이버.ㅋ
그래도 이 서비스 괜춘할 것 같더군요!!!ㄷㄷㄷ
괜찮습니다. 정말...^^;
이제 힘들게 도서관 찾는일이 줄어들겠군요~~
까칠님 말씀처럼 시간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ㅎㅎ
고전에서 답을 얻듯이 네이버의 실험정신과 아이디어가 돋보이네요 ^^
네이버의 서비스 중 감히 으뜸이라고 하고 싶네요. ^^
아 눈에 띄는 메뉴가 하나 있던데 바로 요녀석이로군요.
디지털뉴스 아카이브라...
답이 늦었어요...^^;; 눈에 띄고 이용도 편리했습니다.
저도 오늘 처음 써봤는데 상당히 괜찮더군요^^ 수고많으셨네요
제가 만든 것은 아니니...^^; 기존 논조와 예전의 논조를 비교하거나 하는 등의 여러가지 시야를 가질 수 있는게 장점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그레이트 자원! 정보의 재산을 공유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난 그냥이 시작 내가 더 잘 알아가는거야! 건배, 좋은 일을 계속!